본문 바로가기

콜레스테롤이 당한 배신(?)

일상적인 이야기/건강 2023. 12. 23.
반응형

지금까지 콜레스테롤이 많이 든 식재료나 음식은 조심하자는 이야기를 수도 없이 정리해 봤다. 이런 것들을 마무리하는 의미로 이번에는 지금까지 실컷 떠든 위험해 보이는 콜레스테롤을 대변하기 위한 글을 써본다.

콜레스테롤의 역할

콜레스테롤 하면 안 좋은 영향만 나열되고 있어서 무슨 독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하지만 콜레스테롤의 정체는 독은커녕 오히려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요소다.

콜레스테롤 (Wikipedia)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의 구성 성분, 담즙산의 재료, 호르몬의 재료 등 여러 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을 구성 성분으로써 면역 시스템에 큰 기여를 하고, 담즙산의 재료로써 지방 소화 및 지용성 비타민 흡수에 큰 역할을 하며, 호르몬의 재료로써 우리 몸의 성장 등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이 외에도 콜레스테롤의 역할은 다양하다.

이런 중요한 콜레스테롤이 인간에게서만 생산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그래서 우리가 먹는 식재료에도 당연히 콜레스테롤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동물의 세포막에도 콜레스테롤이 있기 때문에 사실상 모든 동물성 식품에는 콜레스테롤이 들어있다.

콜레스테롤은 얼마나 먹어도 되나

한국에서는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하루에 300mg이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는 선진국들이 만들어온 가이드라인과 비슷하다. 다만 변화의 바람이 닿지 않은 상태라는 차이는 있는 것 같다.

미국 DGAC(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다이어트 가이드라인 자문위원회)에서 2015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건강한 사람의 하루 콜레스테롤 섭취량 300mg 제한에 관한 권장이 삭제되었다. 그저 가능한 한 적게 먹으라는 권장만 추가되어 있을 뿐이다.

DGA

그러니까 ‘건강한 사람은 딱히 섭취하는 콜레스테롤 양에 대해서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미국 정부의 권장이다라고 볼 수 있다.

일본에서도 비슷한 시기 비슷한 권장 사항 변화가 있었다. 일본정부가 5년마다 개정하는 건강 안내서에서 콜레스테롤 섭취 한도가 삭제되었다.

그렇다면 콜레스테롤을 마음껏 먹어도 될까 하는 소리가 될 수도 있겠지만 이는 건강한 사람에 한정한 이야기이며, 고지혈증 환자에게는 약간의 부담도 안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보니 아직은 콜레스테롤 섭취량에 민감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도 볼 수 있다.

콜레스테롤의 순환

앞서 이야기했다시피 콜레스테롤의 주요 역할 중 하나로 담즙산의 재료가 된다는 부분이 있다.

담즙산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인 콜산 (Wikipedia)

담즙산은 소장에서 지방을 소화하기 위해 꼭 필요한 소화액이다. 다만 담즙산은 지방을 소화시키면서 소장에서 다시 흡수되어 혈중 콜레스테롤로 돌아온다. 그리고 다시 담즙산으로 쓰이며 계속 순환한다.

이 과정에서 콜레스테롤이 100% 회수되는 것은 아닐 것이고, 우리 몸이 추가로 얼마나 콜레스테롤이 필요할지를 판단해 간에서 콜레스테롤을 합성하거나 혹은 LDL 콜레스테롤이 과다하다면 HDL을 통해 LDL을 간으로 회수하기도 한다.

이 순환 과정에서 포화지방 섭취가 왜 LDL과 HDL을 늘리는지에 대해서 대략 설명이 된다. 또한 섭취된 콜레스테롤이 흡수가 되어도 왜 바로 문제가 안 되는지도 설명이 된다. 애초에 섭취된 콜레스테롤의 흡수율은 60~80%로 낮은 편이기도 하고 말이다.

물론 건강하다면 아무 문제가 없을 것이다. 노화 혹은 다른 질환 등으로 콜레스테롤 조절이나 소모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을 뿐이다.

콜레스테롤이 당한 배신

이처럼 소중한 콜레스테롤이 당한 배신감은 제법 클 것 같다. 뭘 먹든 몸은 알아서 균형을 맞추려 하지만 그저 나이가 들거나 다른 질환 등으로 이 균형을 제대로 못 맞추는 경우일 뿐인데도 콜레스테롤이 독으로 묘사된다.

물론 안타깝지만 콜레스테롤이 실제론 독이 아니더라도 독처럼 여겨질 수밖에 없는 게 바로 고지혈증 같다. 하지만 고지혈증이라도 콜레스테롤의 섭취량보다는 포화지방 섭취량에 더 민감해질 필요는 있다고 보인다. 적어도 약간의 배신감은 좀 해소시켜 줄 수는 있을 것 같으니 말이다.

 

고지혈증이 다 같은 게 아니라더라

개인적으로 콜레스테롤이 높아져서 이와 관련된 증상을 조사하는 중이다. 이런 상태를 ‘고콜레스테롤혈증’이라 부르는데, 어쩌다 보니 이 증상이 ‘고지혈증’의 한 분류로 언급되는 경우를

seorenn.tistory.com

 

커피와 고지혈증

혹시나 내가 좋아하는 음식물 중 고지혈증에 안 좋은 것, 특히 콜레스테롤 총량이나 LDL을 높이는 녀석이 있을까? 그래서 하나씩 살펴보기로 했다. 첫 주제는 바로 내 최애 기호식품인 커피다. 과

seorenn.tistory.com

 

우유와 고지혈증

고지혈증, 총 콜레스테롤, 특히 LDL을 높이는 안 좋은 음식물들 중 좋아하는 것들 위주로 찾아보는 두 번째 주제는 바로 우유다. 왜냐하면 이 글을 쓰는 작자가 좋아하는 커피인 ‘카페라떼’에

seorenn.tistory.com

 

달걀과 고지혈증

라면에 달걀은 참으로 유혹적인 조합이다. 달걀은 그냥 구워도, 삶아서 먹기에도 좋다. 심지어 몸에 좋다는 비빔밥에도 중요한 재료다. 달걀은 멀리하기엔 너무나 소중한 식재료다. 거기다 달걀

seorenn.tistory.com

 

고기와 고지혈증

고기와 고지혈증과의 관계는 아마도 결론이 정해져 있을 것 같다. “고기에는 몸에 안 좋은 포화지방이 많아 LDL을 마구마구 늘릴 것이라능!”이라고 말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바로 포기하기

seorenn.tistory.com

 

튀김과 고지혈증

위험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어쨌든 포화지방이 간에서 LDL 합성을 촉진한다는 이야기를 수차례 정리해 왔다. 상당히 많은 육류가 포화지방을 포함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렇다면 육류를 좀

seorenn.tistory.com

 

빵과 고지혈증

빵은 이제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식품이자 식사이자 간식이다. 심지어 이 글을 쓰는 작자는 매일 아침을 빵으로 해결하는 빵돌이다. 그래서 빵을 못 먹는다면 정말 힘들 것 같다. 그

seorenn.tistory.com

 

면 요리와 고지혈증

라면이나 국수, 우동과 같은 면 요리는 고지혈증에게 나쁠까? 사실 면이라는 '탄수화물 덩어리'를 생각하면 그다지 좋지는 않을 것 같다. 하지만 무작정 포기하지 말고 더 정보를 찾아보는 것이

seorenn.tistory.com

 

쌀밥과 고지혈증

한국인에겐 어쩔 수 없는 가장 가격 효율적인 식단은 역시나 백반이다. 쌀밥과 다양한 반찬 그리고 찌개나 국으로 구성된 가장 한국스러우면서 세계적으로 건강한 편으로 알려진 식단이다. 하

seorenn.tistory.com

 

고지혈증을 개선하기 위한 보조적인 방법들

LDL을 증가시키는 외부적 요인은 주로 노화, 고혈압, 낮은 HDL 수치, 관상동맥질환, 당뇨, 흡연 등이 원인이다. 반대로 말하자면 이를 해결할 수 있다면 LDL 수치를 낮출 수 있다는 말이다. 우리의

seorenn.tistory.com

 

토마토와 고지혈증

오랜만에 음식물과 고지혈 관련 글을 하나 추가하는데 이번에는 좀 성격이 다른 글이다. 바로 건강식재료의 대명사이자 다이어터들의 친구 그리고 채소이지만 과일로 종종 오해받는 토마토와

seorenn.tistory.com

 

한 달 간의 스타틴 복용 소감

스타틴은 콜레스테롤 특히 LDL-C가 높을 경우 거의 유일한 약으로 사용되는 기적의 약 같은데, 인터넷을 살짝만 뒤져봐도 무서운 부작용 몇 가지가 보고되고 있어서 무섭게 느껴지는 그런 약이었

seorenn.tistory.com

 

스타틴이 감기를 잘 안 낫게 할 수도 있을까?

어느 날인지 모르게 감기에 걸렸다. 그런데 증상이 지독하게도 천천히 심해졌다. 그리고 그만큼 또 잘 안 낫고 있다. 그런데 혹시 이런 증상이 고지혈증 약인 스타틴하고 관계가 있을까? 이전에

seorenn.tistory.com

 

스타틴 복용 이래 첫 추적 검사

엄청난 부작용에 겁먹은 채로 스타틴 복용을 시작했고 3개월이 다되어갔다. 그 사이에 큰 부작용은 없었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수치의 변화, 즉 LDL 수치나 비중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깜깜이인

seorenn.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