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변동성이 극심했던 하루의 소식모음(92)

경제적인 이야기/경제 이야기 2023. 5. 11.
반응형

미국은 CPI발 훈풍이 부나 했더니 변동성이 극심한 하루였고, 한국도 옵션마감일이라 그런지 모르겠지만 역시 변동성이 장난 아닌 불편한 하루였다. 뭔가 특별한 일이 있었던 것일까 아니면 일상(?)이었을까?

(giphy)

애플(AAPL)

  • 애플의 로드맵에 Micro LED가 장착된 iPhone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Micro LED의 전환이 목표라면 당연한 이야기다.
  • 애플이 Apple TV+ 사업에서 향후 수년간 큰 적자를 볼 수도 있다고 한다. 사실 눈에 띄는 뭔가가 별로 없는 상황에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니 암담한 현실이라고 생각된다.
  • 이번엔 Apple ID 서비스가 장애를 겪은 것 같다. 개인적으로도 갑자기 ID를 확인해야 한다고 하더니 올바른 패스워드를 입력해도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를 겪었다. 시간이 지나고 해결되긴 했지만 요즘 애플 서비스의 장애 빈도가 늘어나는 것이 좀 불안불안하다.

IT

미국

  • 부채한도협상 교착: 교착이 길어지면서 미국의 CDS 프리미엄이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골드만삭스는 교착 상태가 이어져서 달러의 지위가 실질적인 위험에 처해있다고 경고했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디폴트 위협 만으로도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될 수 있다고 연일 협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연준의 인플레이션 2% 목표를 향한 큰 진전이 보이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 금리 이슈: 제러미 시겔 교수는 연준이 금리인하에 나서지 않으면 시장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진단했다. 반대로 금리 인하가 시장에는 호재가 아닐 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 CPI가 예상대로 나오면서 시장은 9월 첫 금리 인하를 기대하기 시작했다. WSJ는 고물가에 익숙함이 고물가 고착 위험을 키운다며 침체를 유도해서라도 물가를 내려야 한다고 보도했다. 닉 티미라오스 비공식(?) 연준 대변인은 6~7월 금리동결 가능성을 주장했다. 마켓워치는 칼럼을 통해 연준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상업용 부동산 이슈: 1분기 상업용 부동산 신규 대출이 전년 대비 56% 급감했다고 한다.
  • 톰 리 펀드스트랫 리서치 헤드는 5대 빅테크가 올해 50%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AI 반도체 기업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미국 연속 실업수당청구건수 1813K (+12K) (예상치 하회)
  •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64K (+22K) (예상치 상회)
  • 실업수당청구건수 지표로 볼 때 해고당한 사람의 수가 늘었다고 짐작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 미국 4월 PPI 전년대비 2.3% (-0.4%) (예상치 하회)
  • 미국 4월 PPI 전월대비 0.2% (+0.6%) (예상치 하회)
  • 미국 4월 Core PPI 전년대비 3.2% (-0.2%) (예상치 하회)
  • 미국 4월 Core PPI 전월대비 0.2% (+0.2%) (예상 부합)
  • PPI는 지난달보다는 상승했지만 전년 대비 하락했다는 점은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무엇보다 예상치에서 나쁘게 나온 건 없다는 게 다행인 것 같다.

주요국

  • 중국 4월 PPI 전년대비 -3.6% (-1.1%) (예상치 하회)
  • 중국 4월 PPI 전월대비 -0.1% (+0.2%) (예상치 하회)
  • 정리해서 중국의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예상보다 낮게 나온 모양이다. 미국과는 반대로 디플레이션이 장기화되는 모양이다.
  • BOE는 기준금리를 25bp 인상한 4.50%로 결정하였다.

한국

  • 5월의 첫 10일 간 수출이 무려 10.1%나 줄어 연간 무역적자는 294억 달러로 불어났으며 이는 역대 최대였던 작년 전체 적자 규모를 벌써 60%나 넘어선 수치다.
  • 6월부터 코로나19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에서 경계 단계로 하향 조정된다. 이로 인해 7일 격리 의무가 5일 격리 권고로 완화되고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도 입원 병실이 있는 병원을 제외하고 모두 해제된다.
  • 민주당은 전세사기 피해자 구제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 정부를 안이하다고 비판했다. 정부와 여당의 안은 실질적인 구제책은 없고 대출 지원 투성이니 야당의 주장이 합당하다고 본다.
  • 윤석열 정부의 정책 비일관성이 한국을 망가뜨리고 있는 것 같다. 감세 정책도 일방적으로 나쁜 건 아니고, 국가부채를 줄이는 정책도 나쁜 정책은 아닐 것이다. 다만 연관된 정책을 한 방향으로 가게끔 조율하며 추진해야 하는데 그 조율을 반대로 하는 등 아마추어적인 모습을 보이는 점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 국회 정무위원회의 전체회의에서 가상자산 불공정 거래 규제 및 이용자 보호 목적의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안'이 의결되었다.
  • 금융당국이 은행의 투자일임업 진출을 전면적으로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한다. 현실화되면 은행들 뿐만 아니라 은행과 증권업계와의 경쟁도 치열해질 것 같다.
728x90
반응형

댓글